라즈베리파이4 B 설치가이드(14) kodi 설치/설정하기
Updated:
라즈베리파이를 HTPC로 만들어 봅시다. 라즈베리파이에 kodi만 설치하고, HDMI 케이블만 있으면 TV에 연결해서 동영상 플레이가 가능한 초소형 HTPC가 됩니다.
1. 라즈베리파이에 설치
라즈베리파이에 apt install을 사용하여 kodi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항상 apt install 전에는 update를 실행해줘서 최신 패키지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bin/bash
pi@raspberrypi:~ $ sudo apt update
pi@raspberrypi:~ $ sudo apt install kodi
2. GPU 메모리 설정
라즈베리파이는 DDR 메모리를 CPU와 GPU가 메모리로 나누어 사용합니다. 부팅 시에, 두 디바이스가 메모리를 각각 얼만큼 사용할지 기재를 할 수 있습니다. 기본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메모리값은 낮아서 GPU 성능을 제대로 내기 어려우니 아래처럼 더 확장시켜 줍니다.
메뉴->Preferences->Raspberry Pi Configuration 선택합니다.(shell에서는 $ sudo raspi-config 로 실행 가능) Raspberry Pi Configuration 메뉴에서 Performance 탭 선택하여 GPU Memory를 512MB(혹은 256MB)로 설정합니다. 라즈베리파이4는 1GB, 2GB, 4GB로 3가지 버전이 존재합니다. 1GB 버전인 경우, GPU Memory로 512MB를 설정하면 CPU Memory가 너무 적어지므로 이 경우는 256MB로 설정합니다. 그리고 512MB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은 GPU 성능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고 하니 4GB 기기인 경우에도 512MB로 설정합니다. 즉, 1GB 기기는 256MB로, 2GB/4GB 기기는 512MB로 설정하면 되겠습니다.
이렇게 GPU memory를 512으로 늘려주는 것은 kodi 에서 1080p 플레이를 위해 꼭 필요합니다. 이 설정이 없이 1080p 동영상을 실행하면, kodi가 움직임이 없을 정도로 느려지거나 crash가 발생하며 강제 종료됩니다.
이런 경우 home 디렉토리에 kodi_crashlog 로그 파일이 생성되고, 그 로그의 마지막은 아래와같습니다. 아래와같이 “Creating audio stream” 로그와 함께 kodi가 계속 죽는다면 GPU Memory 설정을 해주세요.
04:53:04.588 T:1539306240 NOTICE: Finding audio codec for: 86018
04:53:04.589 T:1410843392 NOTICE: running thread: video_thread
04:53:04.591 T:1539306240 NOTICE: Creating audio thread
04:53:04.591 T:1402454784 NOTICE: running thread: CVideoPlayerAudio::Process()
04:53:04.595 T:1410843392 NOTICE: CDecoder::Open - fmt:348
04:53:04.602 T:1402454784 NOTICE: Creating audio stream (codec id: 86018, channels: 2, sample rate: 44100, no pass-through)
############### END LOG FILE ################
############ END Kodi CRASH LOG ############
3. 부팅 시 Kodi 자동 시작
라즈베리파이 부팅시 kodi가 자동 시작하게 할 수 도 있습니다. lxsession autostart에 등록하는 방법을 사용했었는데, Raspbian이 업데이트를 하면서 경로 변경이 있었습니다.
아래처럼 /etc/xdg/lxsession/LXDE-pi/autostart 파일 마지막에 kodi 자동 실행을 위한 명령어를 추가해주면 됩니다.
#!/bin/bash
pi@raspberrypi:~ $ cat /etc/xdg/lxsession/LXDE-pi/autostart
@lxpanel --profile LXDE-pi
@pcmanfm --desktop --profile LXDE-pi
@xscreensaver -no-splash
pi@raspberrypi:~ $ echo "sudo bash -c 'echo "@kodi" >> /etc/xdg/lxsession/LXDE-pi/autostart'
파일 편집 후에 파일 내용을 확인하면 아래와같은 내용이 담겨있어야 합니다.
#!/bin/bash
pi@raspberrypi:~ $ cat /etc/xdg/lxsession/LXDE-pi/autostart
@lxpanel --profile LXDE-pi
@pcmanfm --desktop --profile LXDE-pi
@xscreensaver -no-splash
@kodi
pi@raspberrypi:~ $
설정이 완료되고, reboot 명령어로 시스템 재실행을 해보면 부팅과 함께 kodi가 자동 실행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Kodi 수동 실행
자동 실행 할 필요가 없어서 수동 실행하실 분들은 터미널에서 kodi를 입력하세요.
#!/bin/bash
pi@raspberrypi:~ $ kodi
Kodi 커맨드를 실행하면, 이제 아래와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라즈베리파이의 GUI 메뉴를 사용하여 Kodi를 실행하시려면, 메뉴->Sound & Video->Kodi를 선택하면 됩니다.
5. 코디 한글 글꼴 보기
kodi 프로그램의 한글 글꼴을 설정해봅니다. 무턱대고 언어를 한글로 설정하면 한글이 깨짐으로 보입니다. 먼저 라즈베리파이에 한글 글꼴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한글 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먼저 한글 폰트 설치 포스트를 참고해주세요.
한글 폰트 설치 후에는 아래와같이 순서대로 Font를 Arial based로 설정해주고, 이 이후에 언어를 한글로 설정하세요. 이렇게하면 한글 설정이 완료됩니다.
- Kodi 설정->Interface setting->Skin->Fonts 를 Arial based 로 변경
- Kodi 설정->Interface setting->Regional->Language 를 Korean 로 변경
이제 한글 메뉴로 화면이 설정되었습니다.
6. 코디 미디어 서버
kodi 프로그램 큰 장점이 하나 더 있습니다. 별도의 설정 없이도 미디어 서버의 역할을 해준다는 점입니다. 이를 사용하면 다른 안드로이드폰이나 아이폰 혹은 아이패드를 사용하여 라즈베리파이 저장장치의 동영상을 스트리밍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아래 화면은 아이패드에서 nPlayer를 사용하여 라즈베리파이 저장장치를 연결한 화면입니다. 위 항목이 Kodi를 사용하여 UPnP(DLNA)로 연결한 항목이고 아래 항목은 동일 장치를 삼바로 연결한 항목입니다. Kodi 미디어 서버 연결을 이용하면 동영상을 마지막 시청한 위치에서 이어보기가 되는 등 편리한 기능이 제공됩니다. 그리고 삼바 연결 보다 동영상 스트리밍 로딩이 빠릅니다.
UPnP 기능을 사용하여 안드로이드나 iOS의 UPnP 기능을 지원하는 동영상 시청 프로그램에서 쉽사리 설정도 가능합니다. 보통 동일 네트워크 스캔 기능으로 자동 연결이 됩니다. UPnP 기능은 DLNA라고 표시되기도 합니다.
nPlayer 어플은 안드로이드와 iOS용 모두 존재합니다. 유료입니다만 기능이 충실하여 구매할만 합니다.
혹시나 Kodi의 UPnP(DLNA) 검색이 안되면 Kodi 프로그램에서 설정을 점검해보기 바랍니다. Settings->Services->UPnP/DLNA 항목에서 UPnP 관련 기능이 켜져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 많은 라즈베리파이 이야기 Pi Guide 보러가기
Leave a Comment